미국연수생모집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김성수
- 작성일 : 2004-10-14
- 조회 : 578회
관련링크
본문
MRC에 입학하면 입영을 지연시킬 수는 있으나 면제 받을 수는 없습니다. 단 기초의학을 전공하여 박사까지 받는 경우에는 석사 2년, 박사 2년 총 4년 후부터 병역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병역 특례에 지원하게 되면 석박사 공부 4년 (이때면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후부터 시작하여 3년을 병역특례 적용 기관에서 근무하면 됩니다. 경희의대 MRC는 병역특례 적용 기관이기 때문에 경희의대 MRC에서 계속 근무하면 됩니다. 석박사 4년 중 병무청에 신고하면 출국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위과정 중 외국에서 장기간 연수하거나, 외국에서 학위를 받는 것도 허락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외국에서 학위받아도 학위 후 3년을 병역특례 적용 기관에서 근무하면 됩니다. 단 기초의학으로 학위를 받아야 합니다. Extern 은 석사 학위 중에 연수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상없이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정규 수련의 과정에 들어갈 수 있느냐 하는 것인데, 이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일 것입니다. 단 MRC에서는 기초의학 전공자들의 병역 문제를 도와 주기 위하여 경희의대 MRC에 적을 두고, 장기간 연수 (3-4년간)를 보내는 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초의학 전공자는 박사 학위 취득후 3년을 병역특례 적용 기관에서 근무하면 (교수나 연구교수 등으로) 됩니다. 임상을 전공하고자 하면 군복무를 마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Extern으로 근무하고자 하면 시작 전까지 USMLE에 모두 합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본인이 주치의가 되어 환자를 볼 수 있습니다.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SUNY at Buffalo에서는 본과 3년부터 환자를 배당 받아 주치의 역할을 합니다. 본과 3년과 동일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USMLE 합격이 필요합니다. 직접 주치의 역할을 하지 않고 관찰하는 등의 소극적 연수는 USMLE 시험에 합격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고적으로 미국에서 수련의를 하기 위해서는 USMLE 기초, 임상 모두 85점 이상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특히 외국 기초의학 journal에 논문을 싣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윤근 선생은 석사 중 Hepatology와 BBRC 2편의 논문을 제1저자로 발표하였습니다.
--------------[궁금 님의 글입니다.]--------------
선생님 글을 흥미롭게 잘 읽어보았습니다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요, 저는 아직 군미필인데 만약 제가
MRC에 들어가게 된다면 군대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그리고 extern은 USMLE를 봐야 한다고 되어있던데 현재부터
내년 9월 사이..그러니까 11여개월동안 시험을 모두 본 상태여야
하는건지요..선생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 님의 글입니다.]--------------
선생님 글을 흥미롭게 잘 읽어보았습니다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요, 저는 아직 군미필인데 만약 제가
MRC에 들어가게 된다면 군대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그리고 extern은 USMLE를 봐야 한다고 되어있던데 현재부터
내년 9월 사이..그러니까 11여개월동안 시험을 모두 본 상태여야
하는건지요..선생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