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장소대여 마지막 메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고민해봐야 하는 문제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
  • 작성일 : 2004-11-26
  • 조회 : 650회

본문

제 개인적인 의견은.. 투쟁이라는 것은 비상시국.. 말하자면 유신선포나 마찬가지의 결정인데 그러한 의견을 투표자의 과반수 이상만으로 결정하는건 좀 위험한 생각 같습니다.

오히려 지금의 방안이 민심에 보다 가깝겠죠.

솔직히 한번 생각해 봅시다. 투쟁에 뜻이 있는 사람이 투표를 하지 않을 가능성과 투쟁에 뜻이 없는 사람이 투표를 하지 않을 가능성.(물론 이 사람들 모두를 투쟁에 뜻이 없는것으로 해석하는 현재의 방법도 문제는 있습니다.)

물론 이론상입니다만 3년전의 투쟁처럼 과반수 이상의 투표에 과반수 이상의 득표로 투쟁이 결정된다면 전체 인원의 1/4만으로 투쟁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예과 1학년때 투표장에서 의아해 하면서 그 점을 선배님들께 물어봤습니다만 무참히 묵살당했던 기억이 나네요^^

투쟁은 쉽게 결정되어선 안됩니다. 그 결정 이후에 어떻게 행동하느냐는 우리들의 몫이겠지요. 우리들의 내부에서야 말로 원칙적인 행동이 필요할듯 싶습니다.


--------------[본과생 님의 글입니다.]--------------
방금 이상한 투표를 하고 왔습니다.
수업거부를 반대하는 거나 투표하러 오지않는 거나 결과가 같은 투표방식이라니.... 정말 처음 겪어보는 방식이었습니다.
굳이 이런 방식을 채택하려면 투표 기간을 더 연장해서 몇일에 걸쳐서 투표를 했어야 될 것 같습니다.
투표가 부결된다면 이런 투표 방식에 대한 시비와 총원 산출에 대한 문제 제기가  생기는 건 당연할 겁니다.  또한 안 좋을 의도가 숨어있다는 의심을 사기에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이미 투표를 했으니까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다리는 게 좋을 듯합니다. 또한 학우들이 그 정도의 지지는 해 주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다만 앞으로는 이런 이상한 투표는 삼가해주시길 바랍니다. 남들이 보면 웃습니다..



Quick Link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대학소개
교수소개
입학
교육
학생생활
커뮤니티
ENG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