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장소대여 마지막 메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어제 TV토론에서 의약분업 관련 발언에 대한 반박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답답의
  • 작성일 : 2002-12-17
  • 조회 : 363회

본문

어제 TV토론회에서 노무현 후보의 발언에 대한 반박!!!!

발언1.<font color="blue">의약분업으로 주사제의 사용량이 감소했다</font>

현재 주사제는 의약분업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주사제의 사용량 감소는 <font color="blue">의약분업의 시행결과가 아닌
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에서 주사제에 대한 보험혜택을 축소시킨 결과이다.</font>
이것만으로도
소위 그들이 말하는 약제 사용의 오남용은
의약분업이 아닌
건강보험만으로도 통제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미 입증된것이다.

증거)
약사법
제21조 (의약품의 조제)
①약사 및 한약사가 아니면 의약품을 조제할 수 없으며, 약사 및 한약사는 각각 면허의 범위안에서 의약품을 조제하여야 한다.다만, 약학을 전공하는 대학의 학생은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범위안에서 의약품을 조제할 수 있다.<개정 1991.12.31, 1994.1.7, 1997.12.13>

⑤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의사 또는 치과의사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신이 직접 조제할 수 있다. <신설 1994.1.7, 1995.12.29, 2000.1.12, 2001.8.14>
   
    <font color="blue">5. 주사제를 주사하는 경우 </font>




발언2.<font color="blue"> 외국인은 의료보험도 안되므로 경제특구의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font>(경제특구를 설치해 외국계 병원 설립,외국 의과대학 설립도 가능하게 함)

의료보험은 사라지고 건강보험(의료보험 + 건강증진)으로 통합된지 만 2년이 넘었다.
그런데도 대통령 후보가 의료보험이 무엇인지 건강보험이 무엇인지 구분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font color="blue">외국인의 경우도 법에 의해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는데도,
변호사 출신의 대통령 후보가 현행법의 내용도 모른 채
외국인은 의료보험도 안되므로 경제특구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국민앞에 거짓말을 하고 있다.
</font>
증거)
국민건강보험법
93조 (외국인등에 대한 특례) ①정부는 외국정부가 사용자인 사업장의 근로자의 건강보험에 관하여 외국정부와의 합의에 의하여 이를 따로 정할 수 있다.
②<font color="blue">대통령령이 정하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본인의 신청으로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가입자가 될 수 있다.</font>

대통령령
<font color="blue">제64조 (외국인등 가입자) ①법 제93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직장가입자가 될 수 있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직장가입자 적용사업장에 근무하는 자와 공무원·교직원으로 임용 또는 채용된 자로 한다.<개정 2001.6.30> </font>
②법 제93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역가입자가 될 수 있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제1항의 규정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자중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1. 출입국관리법시행령 별표 1 외국인 체류자격의 26. 방문동거(F-1)자격으로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배우자 및 그 자녀
2. 출입국관리법시행령 별표 1에 의한 외국인의 체류자격이 있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자
3. 제2호에서 정한 외국인의 배우자와 20세미만의 자녀
4. 국내에 3월이상 거주한 재외국민(3월이상 거주하지 아니하더라도 유학·취업등의 사유로 3월이상 거주할 것이 명백한 자를 포함한다)

Quick Link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대학소개
교수소개
입학
교육
학생생활
커뮤니티
ENG
닫기